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

(5)
롱테일경제학_꼬리의 반란은 풍요롭다 롱테일경제란? 수요곡선의 꼬리부분이 머리부분보다 길어져 그동안 무시되었던 틈새상품이 중요해지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제가 경제학 책을 읽네요.. 오... 저 이런 원론 같은 책은 별로인데 강추하시는 분이 있어서 읽게 되었어요^^ ​ ​ 파레토 법칙 '80/20 법칙' 혹시 들어보셨을까요? 경제학에서 많이 나오는데요.. 20%의 인구가 전체부의 80%를 차지한다거나 20%의 불만고객에게서 80%의 불만이 나온다거나 20%의 생산품에서 총수입의 80퍼센트를 차지한다거나... ​ 실제로 저가 회사에서 일할때도 일부의 상위 고객에게서 엄청난 가치가 생산되고 있어서 VIP고객을 관리해야한다.. 이렇게 많이 쓰였죠. ​ ​ 디지털 주크박스 업체 이캐스트 CEO는 책의 저자에게 질문을 합니다. 1만 종의 앨범 중에서..
행동경제학이란? (부제: 우리가 이를 알아야 하는 이유) 블로그를 운영하게 되면 통계자료를 볼 수가 있는데요, 공감인 블로그의 유입의 꽤 많은 부분을 예전에 작성한 '사회적기업이란?' 이름의 포스트가 차지하고 있답니다. 어찌되었건 간에! 오늘은 지식창고 2번째 포스트로 '행동경제학이란?'이라는 주제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읽자마자 행동경제학이 단순 학문이 아니라 소비자(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모든 기업과 조직들이 알아야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아시게 될거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따르면 행동경제학을 '인간의 실제 행동을 심리학, 사회확, 생리학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경제학이라 되어있지만 심리학 쪽에 더 가까운..? 그래서 예전에는 비주류 경제학이라는 범위로 분류하기도 했습니다. ​ 우리가 일상 생활 할 때에도..
나의 첫 금리 공부_① 양적완화, 버냉키, 테이퍼링 ​ Part 1 금리를 모르면 경제를 알 수 없다 ​ 금리역시 하나의 가격이다 * 금리는 겅제 온도계다 * 신용문제가 더해지면 복잡해지는 금리 *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소, 대출기간 ​ 명목금리가 아니라 실질금리를 봐야 한다 *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수치 ​ 주식시장보다 채권시장이 더 크다 * 주식을 발행한다는 것은 남의 돈을 빌려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내 것을 팔아넘기는 것이다. * 사업 초창기에는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하기보다 주식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말 그대로 채권금리, 다른 사람의 돈을 순수하게 투자가 아닌 대출의 의미로 빌려오는 것에 대한 대가가 매우 크다는 뜻이다. ​ 왜 국가가 돈을 찍어서 국민들에게 고루 나눠주면 안되는 걸까 * 돈을 찍어서 뿌리..
인플레이션보다 무서운 <디플레 전쟁 DEFLATION> \독서 인플레이션보다 무서운 북꾸럼 ・ 2020. 5. 23. 14:08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번역보기 디플레전쟁 DEFLATION ​ ​ 디플레 전쟁 DEFLATION ​ ​ 홍춘욱 스마트북스 | 경제 | 332p 2020년 50번째 책 | 2020.05.23 읽고 ​ ◼︎◼︎◼︎ 디플레이션이란 경제 전반적으로 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다. 물가가 낮아지면 좋은 거 아닌가 싶지만 일본처럼 장기불황의 시대가 일어날 수 있다. 오히려 어느 정도 매년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이 좋다고 한다. 매년 연봉도 오르면 좋다고 한다. ^^ ​ 물가가 점점 내려갈 거라고 사람들이 생각하면 지출이 줄어든다. 부동산은 침체에 빠지고 거래는 사라진다. 기업, 자영업은 매출이 줄어 구조조정을 하게 된다. 기업은 신규..
부의 추월차선 : 직장인 편 감상문~! 부의 추월차선 -직장인 편! 여러분들은 남들보다 빠르게 돈을 벌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부의 추월차선'이란 책을 알고 있으신가요? 전에 '부의 추월차선' 이란 책을 전에 읽어본 적이 있었는데 이 책은 '직장인 편'이라고 적혀있어서 눈에 들어왔고, 어떤 내용들이 들어가 있는지 궁금해서 한번 읽어보게 되었다. 해야 하는 일보다 하고 싶은 것을 우선시하라! 과연 여러분들은 인생에서 해야 하는 일 vs 하고 싶은 것 중에 무엇이 더 우선순위이신가요? 예전의 나를 포함해서 보통의 사람들은 자신이 하고 싶은 것보다는 지금 당장 눈앞에 있는 해야 할 일들에 집중을 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위 책에서도 말했다시피 우리는 특별한 목표의식이 없어도 살아갈 수 있고, 이러한 생활방식에 이미 익숙해져..